홈플러스 피해자들 한 목소리 "MBK 청문회 개최해야"
노동자·입점업주·납품업체 등 생존권 위협…국회 정무위에 김병주 회장 출석 촉구
민병덕 의원 “점주 돈으로 연명하는 홈플러스, MBK 탐욕에 국회가 책임 물어야”
2025년 4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홈플러스 사태의 직접적 피해자들이 모여 MBK파트너스의 책임을 규명하기 위한 국회 청문회 개최를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 민병덕 의원과, 김남근, 김현정, 김문수, 이강일 의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민병덕 의원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국회 정무위원회)은 “MBK 마이클 병주 킴(Michael ByungJu Kim) 회장과 홈플러스는 이 와중에도 여전히 점주의 월 정산 매출을 자신들 계좌로 받아 수수료만 떼고 재입금하는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며 “점주의 자금으로 돈놀이를 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점주들의 후 정산 요청에는 “시스템 규정’이라며 1년 치 수수료 보증금을 요구하고, 하이브리드 방식 조정도 우선 4월 한 달만 한시 적용하겠다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사회를 맡은 김국현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정책실장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가 시작된 지 50일이 지났지만, MBK는 노동자와 자영업자, 채권자 누구에게도 책임있는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불투명한 회생계획서로 인해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안수용 지부장은 "상품 납품이 줄어 매대 품목이 급감하면서 매출도 함께 하락하고 있다"며 "회생계획이 발표되기도 전에 홈플러스가 붕괴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노동조합이 MBK 본사 앞에서 농성을 진행 중인데 종로구청에서 강제철거를 집행하고 있다며, 종로구청에 회생계획서가 제출될 때까지 강제철거를 유보해달라고 요청했다.
입점업주를 대표해 발언한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점주피해대책협의회 회장은 "회생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무분별한 폐점과 매각은 노동자, 소상공인, 지역상권 모두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하루하루 피가 마르는 고통을 겪고 있다. 국회는 즉시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의환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비대위 집행위원장은 "전단채 피해자들 중에는 국민의힘 지지자도 많은데, 국회 청문회가 계속 미뤄지는 상황에 당혹스럽고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사모펀드 사태 때 피해자들을 누구보다 각별히 챙겼던 윤한홍 정무위원장과 강민국 의원이 이번에도 국회의 시간표대로 홈플러스 정상화와 김병주 회장의 사재출연을 이끌어내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마트노조는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지역사무실을 방문하여 청문회 개최 제안서를 전달하고 있다. 해당 제안서에는 ▲MBK 김병주 회장이 출석할 때까지 반복 청문회 개최 ▲경영 실패와 사재출연 약속 이행 여부 검증 ▲피해자 참고인 증언 청취 등을 포함한 3대 요구안이 담겼다.
이들은 "국회가 국민경제와 고용을 지키는 마지막 방파제 역할을 해야 한다"며 "무책임한 투기자본이 다시는 한국 사회에서 피해를 양산하지 않도록 정무위원회의 단호한 행동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기업 구조조정 문제가 아니라 국민경제를 위협하는 사회적 위기로 확대되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가 제2의 티몬·위메프 사태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선 지금 당장 국회의 개입과 MBK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민병덕 의원(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국회 정무위원회)은 지난 19일 경기 안양에 위치한 홈플러스 매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현장을 둘러본 민병덕 의원은 “진열대에는 정산 불안으로 납품이 끊기면서 팔지도 못할 물건들로 ‘땜빵’만 채워져 있었고, 서울우유조차 빠진 우유 코너는 현재 사태의 본질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결국 그 피해와 책임은 자영업자와 노동자들에게 전가되는 구조”라며, “조속히 MBK 청문회를 열어 책임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